리송을 3번 한 사람으로서 약간의 노하우를 남긴다.
19-1 복학 후 리송, 23-1, 23-2 재수강 리송
- 송도 버스가 매시 30분마다 있고, 이동이 1시간 ~ 1시간 10분 정도라 앞뒤로 2시간은 비워야 한다. 즉 3-6시 수업이라면, 1시 반 혹은 그 이전 차량을 타야한다. 오후 수업이라면 돌아가는 버스가 저녁 시간대이니 예약이 어려울 수 있다. 예약할
때 돌아오는 버스 먼저 예약하는 것이 좋다. 이틀 전 2시 예약이라 1시 58분쯤 고정 알람 맞추면 좋다.
- 1학년 전공 수업(전기전자기초, 공학정보처리)는 보통 수업-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님마다 다르지만 실습이 빨리 끝날 때도 있다.
- 개인적으로 버스 안에서 공부하거나 뭘 보는게 힘들어 오갈 때는 그냥 쉬었다. 당일 저녁에 시험 보는 과목이 있다면 수강신청 때 가급적 피하면 좋다. 집에서 학교까지 1시간, 학교에서 국캠까지 1시간이어서 하루 왕복 4시간을 썼다. 오가는 과정이 체력적인 부담이 생각보다 크니 한 주 계획할 때 참고하면 좋겠다.
- 1학년 과목은 보통 학년 보호가 되어 있다. 다음 시기에 이메일을 권장한다.
1) 정규 마일리지 신청 기간 2~7일 전 교수님께 한 차례
내 경우 두 과목에서 3월 수강 변경 기간에 풀어준다고 말씀하셨다. 마일리지 신청 기간 및 직후 추가 신청 기간에는 안 열렸다. (구조적으로 풀릴 수밖에 없는데, 편입생처럼 3학년으로 입학했지만 졸업을 위해 1학년 수업을 들어야 하는 경우도 있고, 매 학기 어느 학과든 1학년에서 낙제나 C/D를 받은 학생은 나오기 떄문이다.)
2) 답장이 없다면, 학과 사무실에 전화/이메일
3) 만약 수강 변경 기간 전 전공자/학년 보호가 여전히 안 풀렸다면, 학과 사무실에 전화/이메일 후 교수님께 다시 이메일
4) 타 학과 공학정보처리/공학기초설계는 신촌에서 열리기도 하니 참고하면 좋겠다.
학정번호가 같으면 졸업에는 문제 없다. 다만, 교수님에 따라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경험담이다) 나는 수강 신청/변경을 시도조차 하지 않았고, 전기전자 분반으로 리송했는데, 당시에 다시 한 번 교수님께 부탁하는 것도 나쁘지 않았을 것 같다.
* 간절함이 키포인트다!
'노하우 | 연세대 제도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부생 대회 추천 (0) | 2024.07.05 |
---|---|
대학원 인턴 소개 [서울대, 포스텍, 유니스트, 디지스트] (2) | 2024.07.05 |
학점 - 석차 백분율 (4학년 기준) (0) | 2024.06.30 |
[스터디그룹] 프로그램 소개 및 우수 사례 (0) | 2024.06.29 |
[튜터링] 공지 요약, Q&A (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