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포스트는 24-1 공고 기준이며, 매 학기 공식 공지사항을 참고 바람
장학금도 받고, 스펙도 쌓고, 친구/선후배도 만들 수 있는 연세 개꿀 프로그램~
https://tutoring.yonsei.ac.kr/sinchon/index.php?mid=m01&lang=k
연세대학교 튜터링 신청 시스템
함께 공부하면 더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재학생 여러분, 어서오세요! 튜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 튜터링 유형부터 신청 시 유의 사항, 향후 일정에 대한 안내를 충
tutoring.yonsei.ac.kr
공지 요약
튜터링 유형
독수리 튜터링: 개설된 모든 교과목 학습, 과목당 튜터 1명, 튜티 3-5명까지 신청 가능
글로벌 튜터링: 외국인 또는 재외국민 학생(튜티) 대상 특정 교과목 학습, 과목당 튜터 1명, 튜티 1-2명까지 신청 가능
* 전기전자공학 전공은 외국인 학생 수 부족으로 글로벌 튜터링 튜터 신청이 매우 어려움
학과단위 튜터링: 같은 전공 학생 간 전공 교과목 학습, 과목당 튜터 1명, 튜티 수 3명 이상 제한 없음
* 학과단위 튜터링은 소속 대학이나 전공, 학회 등에서 사전 모집 후 팀 매칭 결과를 토대로 개별적으로 신청
신청 기간
대개 2월 말~3월 초, 8월 말~9월 초
활동 방법
대면 활동(단, 팀원간 캠퍼스가 다를 경우 사전 신청, 승인 과정을 거쳐 ZOOM 비대면 활동 허용)
해당 교과목 튜터링 팀(튜터, 튜티) 단위 학습 활동
한 학기 필수 활동시간: 최소 8회/15시간(주당 평균 1시간), 순수 팀 활동시간 의미
활동 특전
튜터: 튜터 장학금 지급(60만원), 자원봉사인증서 및 디지털 배지 발급
튜티: 디지털 배지 발급(신청자에 한해 발급 요건 충족 시)
경험자가 답해주는 Q&A
Q. 링크에 있는 과목이 전부인가요?
A. 과목은 튜터나 튜티로서 본인이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튜터/튜티 신청자가 차야 실제 개설이 됩니다. 위의 과목도 안 열릴 수 있습니다.
"링크 -> 튜터링 신청 -> 추가 개설 -> 정보 입력"
Q. 본인이 들었던 분반만 튜터를 할 수 있나요? 다른 분반에서 튜티를 신청할 수 있나요?
A. 둘 다 가능합니다. 물론 튜터도 본인 분반을 하는게 편하고, 튜티도 마찬가지겠지만 참여가 불가능할 정도는 아닙니다. 튜터들이 시험 기간에 보통 문제 풀이를 함께 하는데, 여기서 차이가 조금은 있을 수 있습니다. 튜터들이 튜터링 계획서를 첨부하고, 종종 연락처도 올리니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Q. 3월 초 수강 변경 기간 후 해당 과목을 취소할 수 도 있을 것 같은데 신청해도 되나요?
A. 수강 변경 기간 이후 튜터/튜티 한 학기 정말 할 건지 교수학습혁신센터에서 다시 한 번 이메일을 보냅니다. 그때 취소해도 됩니다.
Q. 특별히 튜터/튜티를 했으면 좋겠다 할만한 사람이 있나요?
A. 튜터는 '2/3학년인데 할 수 있을까?', '해당 과목을 잘 이해했나?' 자기 의심을 버리고 활동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6주 동안 우수한 성적으로 한 과목을 이수한 건 생각이상으로 대단한 일이고, 함께 PPT 살펴보고, 문제를 풀어보는 것만으로도 튜티한테 큰 도움이 됩니다. 2/3학년 학생 분들 중 유학이나 타대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는 분들은 스펙으로서도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 가성비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튜티는 모두 환영이지만, 특히 2학년에 막 올라왔거나, 전과/복전 등 사유로 함께 공부할 사람이 없거나,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고 싶은 사람이 들으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Q. 모르는 튜터/튜티 말고, 아는 사람끼리 팀을 구성해도 될까요?
A. 미리 튜터/튜티5명을 모은 다음에 특정 시간에 함께 신청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학과단위 튜터링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Q. 튜티 6명 이상도 괜찮나요?
A. 학과단위 튜터링 항목을 참고바랍니다. 링크에 있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신청하셔야 합니다. 전 안 해봐서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Q. 하면서 좋았던 점은?
A. 전 신호및시스템 튜터링을 하는 학기에 통신이론과 디지털신호처리를 함께 들었는데, 학기 초반 신호및시스템 복습을 하니 두 과목을 듣기가 무척 수월했습니다. 아무래도 학교 시험 준비는 개념이 아닌 문제 풀이 중심으로 진행되기 마련인데, 튜터는 능동적으로 개념을 정립해야 하니 전공지식을 다지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Q. 1주 평균 튜터는 얼마나 시간을 써야하나요?
A. 전 방학과 학기 극 초반 문제 자료를 다 정리했고, 매주 30분 자료 준비 및 연습, 1.5시간 튜터링을 진행했습니다. 16주 동안 실제로 앞 2-3주와 시험기간은 진행이 어려워 10회 내외만 하면 됩니다. 공간대관은 튜티들이 돌아가면서 했고, 튜터링 일지는 대부분 복붙 형식으로 10분 내외로 작성했습니다. 전 우수 튜터링을 목표로 하지 않아서 중간/최종 보고는 최소한으로만 했습니다.
Q. 전액 장학생인데, 튜터링 장학금은 이를 초과해서 받을 수 있나요?
A. 작년에 확인했을 때는 등록금성 장학금이 아니라 가능하다고 하셨습니다. 자세한 건 담당 선생님께 확인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Q. 담당 교수님의 허락이 필요한가요?
A. 따로 필요 없습니다.
* 본 포스트는 24-1 공고 기준이며, 매 학기 공식 공지사항을 참고 바람
'노하우 | 연세대 제도와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부생 대회 추천 (0) | 2024.07.05 |
---|---|
대학원 인턴 소개 [서울대, 포스텍, 유니스트, 디지스트] (2) | 2024.07.05 |
학점 - 석차 백분율 (4학년 기준) (0) | 2024.06.30 |
[스터디그룹] 프로그램 소개 및 우수 사례 (0) | 2024.06.29 |
[리송 팁] 전기전자기초/공학정보처리/공학기초설계 재수강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