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50분 밀도 높은 대화를 하다보면 무슨 말을 했는지도 까먹고, 면담을 하려던 목적, 교수님한테 무엇을 바라는지 잊을 확률도 높다. 질문지를 작성해가자. 처음에는 일상적인 대화를 하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대화가 어느 시점에 막히면 꺼내서 보자. 질문 몇 가지 추려본다.
(이 질문 모음집은 2~3학년용이다.)
진로/대학원 관련
- 교수님은 왜 삼성(혹은 기타 기업) 다니시다가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신건지?
- 교수님은 왜 박사 학위 취득 후 산업에서 일하시다가 학계로 돌아오신건지?
- 기업에서 일하다가 대학원으로 다시 돌아오면 어떤 장점/단점이 있는지?
- 교수님은 왜 자대/타대/해외 대학원을 진학하셨는지?
- 어떤 기준으로 대학원/랩실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
- 논문을 기웃거렸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옵니다. 특히 A 나 B 분야는 초록을 읽으면 어떤 모티베이션에서 출발했고 어떤 연구를 했는지 감이라도 오는데, 교수님 분야 C는 논문의 갈피조차 못 잡겠습니다. 이런 게 일반적인가요?
- 학부 인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교수님 랩에 온다면 어떤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는지? 통상적으로 대학원 1년차에게 어떤 식으로 학생이 성장하기를 기대하시는지?
(학부 인턴/종합 설계에 대한 교수님들의 의견이 참으로 다양하다. 어떤 교수님은 학기마다 10명 뽑아 주3일씩 세미나/공부시키기도 하고, 어떤 교수님들은 소수 정예로 뽑아 대학원생처럼 트레이닝 시키듯 하신다. 학부 방학 때는 노는 것이 낫다고 전혀 안 뽑는 분도 있다.)
산업 관련
- 교수님 학생들은 졸업 후 어떤 분야로 많이 진출하는지?
- 교수님 학생들은 졸업 후 기업에서 mainstream 에서 일하는지?
(어느 부서에서 일하는지? 가장 성공한 동문은 누구인지?)
- 우리나라에 관련 기업은 어디가 있는지?
(관련 중견 기업과 스타트업을 미리 찾아간다면 교수님이 좋아할 것이다.)
- 산학 협력/과제는 많이 하시는지? 아니면 논문 중심으로 랩을 운영하시는지?
학업 관련
- 그간 동료로서나 교수로서 많은 엔지이너/박사과정생을 보셨을텐데, 어떤 학생들이 대학원에서 성과를 내는지? 반대로 어떤 학생들이 기대에 못 미치는지? (성격/태도적인 면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고, 방법론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다.)
- 교수님은 학창 시절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내가 그 동안 어떤 단점/한계/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 교수님 분야로 가려면 들어야 하는 3000, 4000 과목은 어떤건지?
- 4학년 때는 과목 선택의 여유가 있는데, 어떤 과목을 들으면 좋을지? (5000,6000과목? 다른 과 전공(컴퓨터/수학/물리)?)
2022년 10월 22일 작성
2024년 8월 8일 소폭 수정
(대폭 수정 및 추가 예정)
<a href="https://www.flaticon.com/kr/free-icons/" title="교수 아이콘">교수 아이콘 제작자: iconixar - Flaticon</a>
'노하우 | 학부생 면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담뉴비 ep.2] 교수, 어려운 존재 (0) | 2023.07.08 |
---|---|
[면담뉴비 ep.1] 첫사랑, 첫면담 (0) | 2023.07.08 |
[면담 장인 ep.4] 그럼에도 불구하고... (1) | 2022.10.22 |
[면담 장인 ep.2] 면담 신청 이메일 쓰는 법 (0) | 2022.10.22 |
[면담 장인 ep.1] 대단원의 서막 (0) | 2022.10.22 |
15분~ 50분 밀도 높은 대화를 하다보면 무슨 말을 했는지도 까먹고, 면담을 하려던 목적, 교수님한테 무엇을 바라는지 잊을 확률도 높다. 질문지를 작성해가자. 처음에는 일상적인 대화를 하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대화가 어느 시점에 막히면 꺼내서 보자. 질문 몇 가지 추려본다.
(이 질문 모음집은 2~3학년용이다.)
진로/대학원 관련
- 교수님은 왜 삼성(혹은 기타 기업) 다니시다가 대학원 진학을 생각하신건지?
- 교수님은 왜 박사 학위 취득 후 산업에서 일하시다가 학계로 돌아오신건지?
- 기업에서 일하다가 대학원으로 다시 돌아오면 어떤 장점/단점이 있는지?
- 교수님은 왜 자대/타대/해외 대학원을 진학하셨는지?
- 어떤 기준으로 대학원/랩실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
- 논문을 기웃거렸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옵니다. 특히 A 나 B 분야는 초록을 읽으면 어떤 모티베이션에서 출발했고 어떤 연구를 했는지 감이라도 오는데, 교수님 분야 C는 논문의 갈피조차 못 잡겠습니다. 이런 게 일반적인가요?
- 학부 인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교수님 랩에 온다면 어떤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는지? 통상적으로 대학원 1년차에게 어떤 식으로 학생이 성장하기를 기대하시는지?
(학부 인턴/종합 설계에 대한 교수님들의 의견이 참으로 다양하다. 어떤 교수님은 학기마다 10명 뽑아 주3일씩 세미나/공부시키기도 하고, 어떤 교수님들은 소수 정예로 뽑아 대학원생처럼 트레이닝 시키듯 하신다. 학부 방학 때는 노는 것이 낫다고 전혀 안 뽑는 분도 있다.)
산업 관련
- 교수님 학생들은 졸업 후 어떤 분야로 많이 진출하는지?
- 교수님 학생들은 졸업 후 기업에서 mainstream 에서 일하는지?
(어느 부서에서 일하는지? 가장 성공한 동문은 누구인지?)
- 우리나라에 관련 기업은 어디가 있는지?
(관련 중견 기업과 스타트업을 미리 찾아간다면 교수님이 좋아할 것이다.)
- 산학 협력/과제는 많이 하시는지? 아니면 논문 중심으로 랩을 운영하시는지?
학업 관련
- 그간 동료로서나 교수로서 많은 엔지이너/박사과정생을 보셨을텐데, 어떤 학생들이 대학원에서 성과를 내는지? 반대로 어떤 학생들이 기대에 못 미치는지? (성격/태도적인 면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고, 방법론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다.)
- 교수님은 학창 시절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내가 그 동안 어떤 단점/한계/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 교수님 분야로 가려면 들어야 하는 3000, 4000 과목은 어떤건지?
- 4학년 때는 과목 선택의 여유가 있는데, 어떤 과목을 들으면 좋을지? (5000,6000과목? 다른 과 전공(컴퓨터/수학/물리)?)
2022년 10월 22일 작성
2024년 8월 8일 소폭 수정
(대폭 수정 및 추가 예정)
<a href="https://www.flaticon.com/kr/free-icons/" title="교수 아이콘">교수 아이콘 제작자: iconixar - Flaticon</a>
'노하우 | 학부생 면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담뉴비 ep.2] 교수, 어려운 존재 (0) | 2023.07.08 |
---|---|
[면담뉴비 ep.1] 첫사랑, 첫면담 (0) | 2023.07.08 |
[면담 장인 ep.4] 그럼에도 불구하고... (1) | 2022.10.22 |
[면담 장인 ep.2] 면담 신청 이메일 쓰는 법 (0) | 2022.10.22 |
[면담 장인 ep.1] 대단원의 서막 (0) | 2022.10.22 |